물가 고공행진 속 바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전 세계적 '식사의 스낵화'가 퍼져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의 조사 결과, 한 끼 식사를 과자나 빵으로 대체하고 있는 소비자는 미국 성인 6명 중 1명, 영국·브라질·한국 성인 8명 중 1명, 싱가포르·홍콩 성인 9명 중 1명꼴로 나타났는데요.
식사와 스낵의 사이, 그중에 하나로, 영양과 편의성을 모두 갖춘 '간편식'에 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그럼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 간편식」을 간략히 살펴보실까요?😎 |
|
|
[이미지 1] 소비시장의 간편식 분류
출처.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오프라인 대형할인매장 및 온라인 유통플랫폼('24년 5월 기준) |
|
|
- '23년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생산액은 5조 1,722억 원, 생산량 123만톤으로 '22년 대비 생산액은 15.9% 증가, 생산량은 8.8% 감소함
- '23년 간편식 출하액은 5조 2,212억 원, 출하량은 119만 톤으로 '22년 대비 출하액은 4.0% 증가, 출하량은 5.6% 감소함
- 현재 국내 즉석섭취·편의식품 시장은 간편식의 춘추전국시대로 볼 수 있음. 중소 규모 PB 브랜드와 유통업체, 대기업 제조사가 모두 진입한 레드오션 시장으로 브랜드별 차별성이 낮으나 가격 경쟁이 치열하여 생산량과 출하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 이에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는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해 다양한 상품 메뉴 개발은 물론, 프리미엄 시장과 실속형 시장으로 이원화하는 전략을 펼치며 생산액, 출하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국내 간편식 소매시장 비중의 경우 오프라인 78.6%, 온라인 21.4%로 나타남
|
|
|
- 건강과 편의성 동시 추구
- 지속가능한 건강관리 트렌드 강화
- 즉석섭취식품 및 신선편의식품 개인화 트렌드
- 요리의 시각적 이미지 중요성 부각
- 냉동 간편식의 성장
- 건강과 간편성 추구에 따른 산업 변화(이에 따라 에어프라이어, 멀티 오븐, 식물 재배기, 저당 밥솥 등 건강한 식생활 관련 기기/제품이 늘어나고 있음)
- 즐거운 경험을 노리는 편의점 PB 간편식
|
|
|
[이미지 2] 간편식 구매량 증가 이유
출처.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 간편식」 |
|
|
[이미지 3] 간편식 구매량 감소 이유
출처.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 간편식」 |
|
|
[이미지 4] 간편식 구매 시 고려요인
출처.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 간편식」 |
|
|
[이미지 5] 주요 수출 제품
출처.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 간편식」 |
|
|
- '23년 간편식 수출액은 6억 2,697만 달러, 수출량은 5만 6천 톤으로, 코로나가 발발했던 '19년 대비 수출액은 16.6%, 수출량은 0.3% 증가함
- '23년 간편식 유형별 수출액은 즉석섭취식품 5억 3,258만 달러, 즉석조리식품 9,429만 달러, 간편조리세트 10만 6천 달러로 나타남. 수출량은 즉석섭취식품이 1만 5천 톤, 즉석조리식품이 4만 1천 톤, 간편조리세트는 25톤임
- '20년 이후 수출액, 수출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향후 간편식 수출 전망은 낙관적일 것으로 판단됨
|
|
|
[이미지 6] 간편식 유형별 시장규모(f) (단위: 백만 달러, %)
출처. Meals and Soups(2024~2028), Euromonitor International |
|
|
- 세계 Meals and Soups 시장규모는 '19년 이후 지속 성장해왔으며, 향후 '28년까지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됨. '23년 세계 간편식 시장규모는 1,751억 달러로 '19년 1,277억 대비 37.1% 증가한 수치이며, 이후 꾸준히 성장하여 '28년에는 '23년 대비 29.3% 성장한 2,26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임
- '23년 가장 규모가 큰 유형은 점유율 53.6%의 즉석조리식품이며, 식품 키트(13%), 샐러드(11.7%), 피자(11.6%), 수프(10%)는 유사한 10% 초반대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 글로벌 간편식의 주요 5가지 트렌드는 '편리함 추구', '건강 추구', '비건 추구', 'PB 제품 인기', '전자상거래'로 구분할 수 있음
- 미국의 경우, 간편식 소매유통은 '23년 기준 78.4%가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 식료품 전문점이 전체의 75.7%로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최근 미국은 식품 가격 폭등으로 인해 PB 상품 수요 및 소비가 증가함. 전자상거래 위주로 이루어지는 밀키트 품목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간편식 시장에서 PB 상품의 점유율이 증가함. 또한 점차 비싸지는 외식/배달 음식의 대체재로 프리미엄 간편식 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함. 소비자들은 건강과 웰빙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클린 영양성분과 클린 라벨링을 강조한 제품들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음
- 일본의 경우, 간편식 소매유통은 '23년 기준 오프라인 채널이 95.6%임. 냉장 즉석조리식품이 59.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어 냉동 즉석조리식품 13.8%, 건조 수프 7.5%, 밀키트 6.6%, 상온 즉석조리식품 6.1%순임. 일본은 가처분소득 증가 한계로 인해 소비자들은 점심으로 애용할 간편식 중 가격 우위가 있는 제품을 앞으로도 더욱 선호할 것임
- 중국의 경우, 간편식 소매유통은 '23년 기준 오프라인 채널이 70.6%이며, 냉동 즉석조리식품이 전체의 4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이어 간편조리세트 32.2%, 상온 즉석조리식품 12.6%순임
|
|
|
(주)바이오포트코리아 뉴스레터 담당 및 문의. 전략기획팀 ke_ahn@bioportkorea.com / 내선 813#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문정역테라타워) A동 609호 / 02-2138-0270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