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인상이 불러올 파급 효과 중 하나로 유통업계 PB 성장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엔 미국 식품 소매업계의 2024년 PB상품 매출이 2,50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고객이 PB 기준으로 점포를 선택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주는 충성 고객 확보 전략의 중요한 축이 된 유통사 PB 상품 운영 현황에 대해 한 번 알아볼까요?☺️ |
|
|
🧭PB상품 전성시대, 국내는 성장 잠재력 무궁무진👀 |
|
|
[이미지 1] 식품 부문 카테고리별 PB 성장률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최근 주요 소매기업 PB 상품 매출 분석」 ('24.02.14) |
|
|
- 대한상공회의소가 '22년 10월~'23년 9월까지 전국 약 6,500개 오프라인 소매매장(대형마트, SSM, 편의점)을 대상으로 POS 데이터 기반 소비재 매출을 분석한 결과, 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유통사 자체 브랜드인 PB(Private Brand) 상품 매출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국내 PB 상품 시장규모는 '22년 대비 '23년에 11.8% 성장하였는데, 이는 전체 소비재 시장이 같은 기간 1.9% 성장에 그친 것에 비하면 약 6배 높은 수치임
- PB 시장 성장세는 비식품보다 식품 부문에서 더욱 두드러짐. '23년 비식품 부문 시장 성장률은 7.4%였던 데 비해 식품은 12.4%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PB 시장 성장을 견인함. 소비심리가 위축된 소비자들이 필요하지 않은 비식품 지출은 줄이고, 식음료품 등 필수재 위주의 소비활동은 유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됨
-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편의가공이 '22년 대비 19.1%로 가장 많이 성장했는데, '가성비'를 강조한 대용량 컵라면 판매 호조에 힘입어 라면 카테고리가 32.3% 성장했고, 유통사들이 일제히 구색을 강화한 즉석 국·탕·찌개류도 25.2% 성장하며, 편의가공 PB 시장 성장에 기여함
|
|
|
[이미지 2] 업태별 PB 성장률 및 점유율
출처. 대한상공회의소 「최근 주요 소매기업 PB 상품 매출 분석」 ('24.02.14) |
|
|
- 전체 매출대비 PB 비중이 가장 높은 오프라인 업태는 대형마트였으며(8.7%), 그 뒤를 이어 기업형 슈퍼마켓 5.3%, 편의점 4.1% 순으로 나타났음
-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 장근무 원장은 "유럽의 경우 경제 저성장기에 실속소비 패턴이 정착하면서 PB 시장이 크게 성장했는데, 우리나라도 최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글로벌 유통업계 평균 PB 점유율이 21%인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므로 유통사들은 PB 라인업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함
|
|
|
🧭글로벌 시장 PB 상품 성장세로는 간식류, 비중으로는 신선식품👀 |
|
|
[이미지 3] 카테고리별 글로벌 PB 판매액 성장률 및 비중
출처. NIQ Quarter by Numbers Private Label Report (Q2 2024) |
|
|
- 닐슨IQ가 '22년 7월~'24년 6월까지 집계한 글로벌 데이터에 따르면, 모든 카테고리에서 PB 판매액 성장을 보이는 가운데 간식류의 성장률이 10%로 가장 높게 나타남. 그 다음으로는 냉장식품, 담배, 냉동식품이 높은 성장률을 보임
- 카테고리별로는 신선식품과 제지류의 PB 판매액 비중이 가장 높으며, 특히 냉장식품과 냉동식품의 점유율 확대가 두드러짐
|
|
|
🧭미국 시장 PB 매출 역대 최고치 기록('24년 기준)👀 |
|
|
[이미지 4] 글로벌 1위 유통사인 월마트가 '24년 4월에 출시한 프리미엄 PB 'bettergoods'
출처. Walmart |
|
|
- '24년 미국 식음료 가격 인상율은 2.4%로, 물가상승률 2.7%에 비해 다소 낮지만 실제 미국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이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이러한 소비자들의 인식은 식품 구매 시 보다 합리적으로 소비하려는 구매습관으로 이어지고 있음
- '24년 미국 식품 소매업계의 PB와 SB(Store Brand) 매출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23년 2,360억 달러(약 350조 원)에서 '24년 2,500억 달러(약 370조 원)로 성장률이 6%를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됨. '23년 전체 식품 소매업계 매출에서 PB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7%에 달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는데, '24년 이를 다시 뛰어넘은 것임. '24년 PB 상품의 시장점유율은 단위 기준으로 한때 22.9%까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됨
- 미국 유통업계에서 PB 상품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은 업체는 '알디(ALDI)'로, 전체 매출에서 80%에 달함. 친환경 식품 슈퍼마켓 포맷의 '트레이더조(Trader Joe's)'는 69%를 차지하고 있음. 멤버십홀세일클럽인 '코스트코', '샘스클럽', 슈퍼센터인 '월마트'와 지역 슈퍼마켓인 'H-E-B'의 경우, 전체 식음료 매출에서 PB 상품 비중이 4분의 1을 상회하고 있음
|
|
|
[이미지 5] 미국 소비자 연령대별 PB 상품에 대한 인식
출처. 리테일매거진 「[2025 미국 PB 시장 트렌드] ① PB 시장 동향」 ('25년 2월호) |
|
|
- 미국 식품 소매업체들은 최근 가격 경쟁력을 내세우는 것 외에도 품질 개선, 소매업체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등으로 PB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음
- 미국 소비자의 32%는 NB(National Brand)를 PB로 대체할 계획이 있으며, 지난 12개월간 미국 대부분 가구가 식음료를 비롯한 미용, 가정용품, 정원용품 같은 분야에서 PB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조사됨
- 미국식품산업협회(FMI) 보고서에 따르면, PB 상품에 대한 소비자 선택이 더 이상 가격 때문이 아니며, 식품 가격이 하락한다 해도 PB 상품을 계속 구매하겠다는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함. 소비자의 절반이 넘는 55%는 PB 상품이 식품 소매업체를 선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고 답하였고, 이에 따라 유통사들은 건강과 영양 등 새로운 가치와 품질로 PB 상품 매출을 확대하고 있음
|
|
|
(주)바이오포트코리아 뉴스레터 담당 및 문의. 전략기획팀 ke_ahn@bioportkorea.com / 내선 813#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문정역테라타워) A동 609호 / 02-2138-0270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