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로이트가 얼마전 식음료 시장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소비자들의 식음료 쇼핑 유형을 5가지로 분류하여 이들의 구매 품목과 지출액, 구매 요인 등을 분석했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그리고 '푸드 정체성'이란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전략기획팀의 첫 번째 Weekly Focus, 이번주 다룰 보고서는 「식료품 업계의 새로운 전략... '푸드 정체성'을 공략하라」입니다.🙂 |
|
|
- 설문 표본 수 : 전 세계 성인 4만8,000명(국가별 4,000명)
- 설문 지역 : 한국, 호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폴란드, 스페인, 미국, 영국
- 설문 기간 : 2023년 12월 ~ 2024년 3월
|
|
|
푸드 정체성(food personality)이란? |
|
|
- 딜로이트는 식료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생각과 태도도 소비자들의 구매 품목과 지출액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이러한 생각과 태도를 '푸드 정체성'이라 일컬음
|
|
|
🧭식료품 쇼핑 유형, 현대적 개념의 '푸드 정체성'으로 분류👀 |
|
|
[그림 1] 소비자 푸드 정체성 분류 (*복수 응답 허용)
출처. Deloitte Consumer Signals |
|
|
- 한국은 글로벌 평균과 비슷하게 절약형(28%)이 가장 많았고, 건강 중시형(26%), 편리 추구형(22%)이 뒤따름. 미식가형(14%)과 친환경 추구형(6%)은 상대적으로 소수에 그침
- 독일, 프랑스, 폴란드 등 서유럽국들은 절약형(독일: 37%)이 가장 많았고, 큰 격차를 두고 건강 중시형이 뒤따름
-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지중해 국가들은 서유럽국들과 반대로 건강 중시형(이탈리아: 40%)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큰 격차를 두고 절약형이 뒤따름
- 미국과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영어권 국가들은 편리 추구형이 우세함. 특히 미국과 호주에서 편리 추구형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영국은 편리 추구형이 절약형보다 많았음
|
|
|
🧭푸드 정체성에 따른 식료품 쇼핑 행태 차이👀 |
|
|
[그림 2] 푸드 정체성에 따른 월간 구매 품목별 지출액 비교 (글로벌)
출처. Deloitte Consumer Signals |
|
|
- 유형별로 구매 품목별 지출액의 격차가 글로벌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남
- 절약형과 건강 중시형은 신선 식품 비중이 높은 반면, 편리 추구형과 미식가형은 신선 식품 비중이 평균보다 훨씬 적게 나타남
|
|
|
[그림 3] 푸드 정체성에 따른 월간 구매 품목별 지출액 비교 (한국)
출처. Deloitte Consumer Signals |
|
|
[그림 4] 푸드 정체성 유형별 식품 절약 행태 비교 (글로벌)
출처. Deloitte Consumer Signals |
|
|
- 한국 서베이 결과, 절약형은 ‘스토어브랜드 위주로 구매’ 항목 외 모든 절약 행태를 행동에 옮긴 응답자 비율이 글로벌 평균을 훌쩍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식재료 낭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응답자가 절반을 넘음
- 반면 나머지 유형은 모든 절약 행태 비율이 글로벌 평균보다 낮게 나타남
- 건강 중시형은 식재료 낭비 절감에 주력한 반면, 높은 물가에도 딱히 저가 식재료나 스토어브랜드를 찾지 않았음
- 편리 추구형은 식재료 낭비를 절감하고 저가 식재료를 구매하는 것으로 지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나, 필요보다 적게 구매하는 비율은 글로벌 평균에 비해 낮게 나타남
|
|
|
[그림 5] 푸드 정체성 유형별 식품 절약 행태 비교 (한국)
출처. Deloitte Consumer Signals |
|
|
🧭푸드 정체성을 활용한 식료품 업계의 행동전략👀 |
|
|
- 맞춤화 전략은 고객 개개인의 지배적인 식료품 정체성 유형을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함
- 충성 고객 우대 프로그램의 설문조사 등을 활용해 고객들의 식료품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음
|
|
|
- 유형별 지출액 및 지출 품목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해, 판매 및 마케팅 전략을 적절히 혼합, 분리해 실행 (Mix / Mode / Message / Maintenance)
|
|
|
- 고객 세밀화와 맞춤화를 강화할수록 더 많은 데이터와 피드백이 쌓이게 됨
- 본 보고서 분석을 기반으로 유형별 특징과 소비 행태에 대한 심도 깊은 인사이트를 구축하면, '대량 판매에서 소량 판매로의 전환'을 한층 가속화할 수 있음
|
|
|
(주)바이오포트코리아 뉴스레터 담당 및 문의. 전략기획팀 ke_ahn@bioportkorea.com / 내선 813#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167 (문정역테라타워) A동 609호 / 02-2138-0270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